이번 포스트에서는 synology nas에서 실행되는 서비스를 HTTPS로 서비스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살펴보자. Synology의 막강한 내장 기능 활용 DDNSsynology는 내부적으로 DDNS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도메인 이름이 synology에 종속되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하다. DSM에 로그인 후 제어판 > 외부 액세스 > DDNS로 이동해서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서비스 제공업체: synology 선택host 이름: 원하는 호스트 이름(my-server) 입력사용자이름, 비밀번호: DSM 로그인 계정 입력정보 입력 후 [연결 테스트]를 클릭하면 아마 정상이 나올것 같고. 이제 나만의 주소가 생성되었다. 포트 포워딩(공유기 설정)다음으로 외부에서 HTTPS(443)와 인증..
[synology] HTTPS 설정
이번 포스트에서는 synology nas에서 실행되는 서비스를 HTTPS로 서비스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살펴보자. Synology의 막강한 내장 기능 활용 DDNSsynology는 내부적으로 DDNS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도메인 이름이 synology에 종속되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하다. DSM에 로그인 후 제어판 > 외부 액세스 > DDNS로 이동해서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서비스 제공업체: synology 선택host 이름: 원하는 호스트 이름(my-server) 입력사용자이름, 비밀번호: DSM 로그인 계정 입력정보 입력 후 [연결 테스트]를 클릭하면 아마 정상이 나올것 같고. 이제 나만의 주소가 생성되었다. 포트 포워딩(공유기 설정)다음으로 외부에서 HTTPS(443)와 인증..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