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알고리즘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디버거의 사용을 필수이다. 이때 Variables 항목에서 변수들의 값을 볼 수 있다. 하지만 top 변수에 대해서 궁금한 것은 top이라는 변수의 타입이 아니라 top이 어떤 값을 가지고 있는가이다. 물론 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지만 매우 귀찮은 일이다. path, stack과 같은 객체들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가 중요한 정보이다. 고맙게도 이클립스에는 출력 내용을 재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windows > preferences > java > debug > detail formatters 메뉴를 이용해보자. 하단의 Show variable details 부분에 'As the label for variab..
[eclipse] 디버거의 value 출력 변경알고리즘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디버거의 사용을 필수이다. 이때 Variables 항목에서 변수들의 값을 볼 수 있다. 하지만 top 변수에 대해서 궁금한 것은 top이라는 변수의 타입이 아니라 top이 어떤 값을 가지고 있는가이다. 물론 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지만 매우 귀찮은 일이다. path, stack과 같은 객체들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가 중요한 정보이다. 고맙게도 이클립스에는 출력 내용을 재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windows > preferences > java > debug > detail formatters 메뉴를 이용해보자. 하단의 Show variable details 부분에 'As the label for variab..
2020.01.30 -
Git을 이용하려면 pull/push 과정에서 로그인 정보를 매번 입력해야 하는데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Eclipse의 경우 Store in Secure Store에 체크하고 계정 정보를 저장해 놓으면 이 귀찮은 일도 안녕이다. 처음 정보를 저장하면 master password를 생성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굳이 거기까지는 필요 없을듯 하다. No를 선택해주자. 문제는 불가피하게 자리를 바꾸는 일이 발생한다면 위 정보도 지워줘야 한다. 이 정보는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security > secure storage 에서 찾아볼 수 있다. Contents의 Default Secure Storage에 Git 이 있는데 여기에 계정 정보가 저장된다. 당연히 Delete 를..
Eclipse에 Git 로그인 정보 저장 및 삭제Git을 이용하려면 pull/push 과정에서 로그인 정보를 매번 입력해야 하는데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Eclipse의 경우 Store in Secure Store에 체크하고 계정 정보를 저장해 놓으면 이 귀찮은 일도 안녕이다. 처음 정보를 저장하면 master password를 생성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굳이 거기까지는 필요 없을듯 하다. No를 선택해주자. 문제는 불가피하게 자리를 바꾸는 일이 발생한다면 위 정보도 지워줘야 한다. 이 정보는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security > secure storage 에서 찾아볼 수 있다. Contents의 Default Secure Storage에 Git 이 있는데 여기에 계정 정보가 저장된다. 당연히 Delete 를..
2020.01.30 -
노트북으로 작업을 하다 습관적으로 뚜껑을 닫고 자러갈 때가 많다. 왜냐하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빠져서 다음날 이어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왠걸.. 아침에 보면 노트북의 팬이 맹렬히 돌고 있고 노트북을 사용하려 해도 전혀 반응이 없다. 일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강제 종료였다. 전원 버튼을 4초 이상 꾹 누르면 종료된다. 하지만 왠지 강제 종료라 마음이 편하지 않다. 이때 제어판 -> 전원옵션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종료 설정에서 빠른 시작 켜기(권장)을 끄면 해결!
[Windows]노트북이 절전모드로 가지 않을 때노트북으로 작업을 하다 습관적으로 뚜껑을 닫고 자러갈 때가 많다. 왜냐하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빠져서 다음날 이어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왠걸.. 아침에 보면 노트북의 팬이 맹렬히 돌고 있고 노트북을 사용하려 해도 전혀 반응이 없다. 일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강제 종료였다. 전원 버튼을 4초 이상 꾹 누르면 종료된다. 하지만 왠지 강제 종료라 마음이 편하지 않다. 이때 제어판 -> 전원옵션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종료 설정에서 빠른 시작 켜기(권장)을 끄면 해결!
2019.12.25 -
자바 API에서 FIFO를 처리하기 위해 Queue를 사용할 수 있는데 유사한 메서드들이 있어서 차이점을 정리하고 가보자. Queue에 데이터를 추가, 삭제, 검색할 때 제공되는 메서드들의 차이는 기능적인 것은 아니며 문제 상황에서 예외를 던지느냐 아니면 null 또는 false를 반환하느냐에 있다. 예외 발생 값 리턴 추가(enqueue) add(e) offer(e) 삭제(dequeue) remove() poll() 검사(peek) element() peek() 즉 enqueue 동작 처리를 위해서 데이터를 추가해야하는데 이미 큐가 꽉 찬 경우 add는 예외를 발생시키지만 offer는 추가 실패를 의미하는 false를 리턴한다.
[자료구조]Queue - add vs offer자바 API에서 FIFO를 처리하기 위해 Queue를 사용할 수 있는데 유사한 메서드들이 있어서 차이점을 정리하고 가보자. Queue에 데이터를 추가, 삭제, 검색할 때 제공되는 메서드들의 차이는 기능적인 것은 아니며 문제 상황에서 예외를 던지느냐 아니면 null 또는 false를 반환하느냐에 있다. 예외 발생 값 리턴 추가(enqueue) add(e) offer(e) 삭제(dequeue) remove() poll() 검사(peek) element() peek() 즉 enqueue 동작 처리를 위해서 데이터를 추가해야하는데 이미 큐가 꽉 찬 경우 add는 예외를 발생시키지만 offer는 추가 실패를 의미하는 false를 리턴한다.
2019.12.22 -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중간 중간 탐색기로 파일을 보다가 cmd 창을 이용해야할 경우가 있다. 슬픈점은 오른쪽 클릭했을 때 현재 경로에서 CMD가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오게 하자!! 1. 먼저 regedit를 실행한다. [윈도우+R] 입력 후 열기에 regedit라고 입력한다. 2. HKEY_CLASSES_ROOT > Directory > Background > shell로 이동한다. 3. 기본값 아래 우클릭 후 새로만들기 > 키를 입력 후 이름을 cmd_open으로 입력한다. 4. cmd_open 선택 후 기본값을 더블클릭해서 편집 창을 연 후 값 데이터를 입력한다. 5. 벌써 탐색기에서 우클릭해보면 만든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은 멍텅구리여서 동작하지는 않는다. 6. 기능 추가하기 cm..
탐색기에서 마우스 오른클릭으로 CMD 등록하기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중간 중간 탐색기로 파일을 보다가 cmd 창을 이용해야할 경우가 있다. 슬픈점은 오른쪽 클릭했을 때 현재 경로에서 CMD가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오게 하자!! 1. 먼저 regedit를 실행한다. [윈도우+R] 입력 후 열기에 regedit라고 입력한다. 2. HKEY_CLASSES_ROOT > Directory > Background > shell로 이동한다. 3. 기본값 아래 우클릭 후 새로만들기 > 키를 입력 후 이름을 cmd_open으로 입력한다. 4. cmd_open 선택 후 기본값을 더블클릭해서 편집 창을 연 후 값 데이터를 입력한다. 5. 벌써 탐색기에서 우클릭해보면 만든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은 멍텅구리여서 동작하지는 않는다. 6. 기능 추가하기 cm..
2019.11.26 -
vscode를 열심히 사용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를 접하게 되었다. 현재 2019.11.26일 시점에 vscode의 오류인것 같다. vscode는 valid 한 파일 이름으로 ([$\\w]+\\.)*[$\\w]+ 정규식을 통과해야 한다. 한글은 \w에 부적합 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ㅜㅜ
[vscode] ConfigError:'class name' is not a valid class namevscode를 열심히 사용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를 접하게 되었다. 현재 2019.11.26일 시점에 vscode의 오류인것 같다. vscode는 valid 한 파일 이름으로 ([$\\w]+\\.)*[$\\w]+ 정규식을 통과해야 한다. 한글은 \w에 부적합 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ㅜㅜ
2019.11.26 -
power shell의 도움말을 보려면 help를 사용한다. PS C:\Temp> help rm 이름 Remove-Item 구문 Remove-Item [-Path] [] Remove-Item [] 별칭 ri rm rmdir del erase rd 설명 Get-Help가 이 컴퓨터에서 이 cmdlet에 대한 도움말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일부 도움말만 표시합니다. -- 이 cmdlet을 포함하는 모듈에 대한 도움말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려면 Update-Help를 사용하십시오. -- 이 cmdlet에 대한 도움말 항목을 온라인으로 보려면 "Get-Help Remove-Item -Online"을 입력하거나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113373(으)로 이동..
[PowerShell]도움말 설치 및 보기power shell의 도움말을 보려면 help를 사용한다. PS C:\Temp> help rm 이름 Remove-Item 구문 Remove-Item [-Path] [] Remove-Item [] 별칭 ri rm rmdir del erase rd 설명 Get-Help가 이 컴퓨터에서 이 cmdlet에 대한 도움말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일부 도움말만 표시합니다. -- 이 cmdlet을 포함하는 모듈에 대한 도움말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려면 Update-Help를 사용하십시오. -- 이 cmdlet에 대한 도움말 항목을 온라인으로 보려면 "Get-Help Remove-Item -Online"을 입력하거나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113373(으)로 이동..
2019.11.22 -
앞선 포스트에서는 Vue 프로젝트에서 배포 후 Spring Boot 앱으로 수동으로 배포시켰다. vue-cli의 build 명령에는 dest 옵션이 있어서 필요한 경로에 파일을 배포할 수도 있다. "scripts": { "serve": "vue-cli-service serve --open --port 9090", "build": "vue-cli-service build --dest c:/ssafy/boot_backend/demo/src/main/webapp/WEB-INF/vue-dist", "lint": "vue-cli-service lint" },
[vscode] Spring Boot + Vue 연동 프로젝트 생성 4 - 배포앞선 포스트에서는 Vue 프로젝트에서 배포 후 Spring Boot 앱으로 수동으로 배포시켰다. vue-cli의 build 명령에는 dest 옵션이 있어서 필요한 경로에 파일을 배포할 수도 있다. "scripts": { "serve": "vue-cli-service serve --open --port 9090", "build": "vue-cli-service build --dest c:/ssafy/boot_backend/demo/src/main/webapp/WEB-INF/vue-dist", "lint": "vue-cli-service lint" },
2019.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