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에서 애플리케이션 작성을 위한 Spring Framework와 단위테스트를 위한 JUnit을 연동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
의존성 설정
테스트를 위해서는 junit과 spring-test에 대한 의존성 설정이 필요하다.
연동 처리를 위한 annotation 사용
junit의 @RunWith
@RunWith는 JUnit이 동작할 때 내장된 runner가 아닌 사용자 지정의 runner와 동작 할 수 있게 지정해주는 녀석이다. 이 부분이 바로 spring framework와의 연동 부분이 된다.
이때 사용할 runner는 SpringRunner.class이다.
spring의 @ContextConfiguration
다음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읽어들일 설정 파일을 등록해주어야 한다. 이때 @ContextConfiguration을 사용한다.
annotation의 여러가지 속성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설정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는 locations이다. locations에 그냥 경로를 입력하면 클래스 패스 경로상에 있는 xml 파일을 로딩하고 만약 프로젝트에는 있지만 클래스 패스에는 없는 경우(예를 들어 webapp/WEB-INF/ 등에 있는 경우)는 file:을 통해서 접근해야 한다.
만약 java 기반의 환경 설정을 사용한다면 classes 속성을 이용해서 로딩한다.
자바 기반으로 작성하면 자동완성도 지원되기 때문에 오타의 위험도 없고 역시 깔끔하다.
간단한 사용
연결이 되었다면 이제부터는 일반적인 JUnit 처럼 사용하면 된다.